두눈작업
프로젝트 - 저는 실천예술가 두눈입니다.
작품에 쓰이는 이색소재‥'생필품 활용' 예술작품 커피로 그림을 그리시는 최달수작가님, 펜화가 김영택작가님 실로 작업 하시는 김현태작가님과 함께 보도 되었고 본 영상은 저의 부분을 편집한 것입니다. 다른작가님들의 작품이 궁금하시다면 원본 보기 ->http://j.mp/N7NurL 손톱을 기부받아 작업하고 과정과 결과물을 온라인을 통해 공유하다 보니 방송출연 섭외가 종종 옵니다. 더 많은 사람의 참여가 있어야 하는 프로젝트이기에 출연을 하는 것이지만 작업 의도와는 다르게 편집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아 고민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방영이 된 후 후기를 써서 제 생각을 밝혀 둡니다. 이는 방송을 본 분들이 제 작업이 오해 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과 또 다른 프로그램에서 섭외가 오면 방송작가님에게 보여드리기 위함입니다. 올해 들어 네 군데에서 출연 요청이 왔지만, 출연을 미루어 왔습니다. 그러나 뉴스는 처음이고 연출할 것도 없다 생각하여 취재에 응했습니다. 단, 특이한 재료로 작업하는 작가로만 부각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게 저는 약 한 시간 정도를 작업과정도 보여주고 손톱의 의미 기부에 대한 것도 인터뷰했습니다. 눈 _ 손톱_ 3.5 *1.5 * 2.2 cm _ 2012 (함께 한 분 : 임이랑 조윤환 양화니 윤지원) 첫 작품은 사람의 얼굴을 표현한 것이라기보다는 저의 작가명 두눈에 대해 말하고자 삐딱한 눈을 만든 것입니다. 작품 제목이 두눈으로 소개가 되었는데 원래 제목은 <눈>입니다. 눈은 항상 아름다운 것 예쁜 것만을 보려 한다. 극과 극이 통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니, 왜 눈이 두 개인지도 알 것 같다.-지구별에 온지 31년 두눈 생각- "세상은 음과 양이 공존하듯 우리는 자연스레 추한 것도 보게 되기 마련입니다. 추한 것도 존재 이유가 있고, 이는 부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예쁜 것과 추한 것 중에서 http://j.mp/NAVC0r 두눈 실천예술가 두눈체 투표, 효 저는 방송작가님에게 저를 실천예술가 두눈으로 방송해 달라고 말말했으나 뉴스에서는 조형작가 변득수로 보도되었습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저의 작가명은 두눈입니다. 저는 홍익인간 사상을 예술로써 실천하기 위해 조형작업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작업하며 활동 해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실천예술가"라 합니다. 작업실에 설치해둔 두눈체 중 방영된 두눈체 <투표>는 정면에서 촬영되어 트표로 보이는 것이지만 각도를 달리하면 원래 글자로 보입니다. 눈은 마음의 창이고 글은 생각의 창이다.두눈체는 영혼의 창이 되고 싶다.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여기서 두눈체는 위와 같은 생각을 바탕으로 짧은 글과 함께 표현한 작업을 말합니다. 더불어 사는 사회로 변하게 하는 실천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 어버이 내게 했던 효,어버이 생전에 다하지 못하네.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 (때 낀 손톱은 아버지 작업을 도와 드르고 자른 제 손톱입니다. 어릴적 부터 어버지 일을 도와드렸지만 몇 달전 처음으로 효도하는 마음으로 일했고 그러한 마음이 담긴 손톱입니다.) 또한 유리관 속의 작업들은 영상으로도 표현 했습니다.
작품에 쓰이는 이색소재‥'생필품 활용' 예술작품
커피로 그림을 그리시는 최달수작가님, 펜화가 김영택작가님 실로 작업 하시는 김현태작가님과 함께 보도 되었고
본 영상은 저의 부분을 편집한 것입니다. 다른작가님들의 작품이 궁금하시다면 원본 보기 ->http://j.mp/N7NurL
손톱을 기부받아 작업하고 과정과 결과물을 온라인을 통해 공유하다 보니 방송출연 섭외가 종종 옵니다. 더 많은 사람의 참여가 있어야 하는 프로젝트이기에 출연을 하는 것이지만 작업 의도와는 다르게 편집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아 고민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방영이 된 후 후기를 써서 제 생각을 밝혀 둡니다. 이는 방송을 본 분들이 제 작업이 오해 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과 또 다른 프로그램에서 섭외가 오면 방송작가님에게 보여드리기 위함입니다.
올해 들어 네 군데에서 출연 요청이 왔지만, 출연을 미루어 왔습니다. 그러나 뉴스는 처음이고 연출할 것도 없다 생각하여 취재에 응했습니다. 단, 특이한 재료로 작업하는 작가로만 부각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게 저는 약 한 시간 정도를 작업과정도 보여주고 손톱의 의미 기부에 대한 것도 인터뷰했습니다.
눈 _ 손톱_ 3.5 *1.5 * 2.2 cm _ 2012 (함께 한 분 : 임이랑 조윤환 양화니 윤지원)
첫 작품은 사람의 얼굴을 표현한 것이라기보다는 저의 작가명 두눈에 대해 말하고자 삐딱한 눈을 만든 것입니다. 작품 제목이 두눈으로 소개가 되었는데 원래 제목은 <눈>입니다.
눈은 항상 아름다운 것 예쁜 것만을 보려 한다. 극과 극이 통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니, 왜 눈이 두 개인지도 알 것 같다.-지구별에 온지 31년 두눈 생각-
"세상은 음과 양이 공존하듯 우리는 자연스레 추한 것도 보게 되기 마련입니다. 추한 것도 존재 이유가 있고, 이는 부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예쁜 것과 추한 것 중에서 http://j.mp/NAVC0r
두눈 실천예술가 두눈체 투표, 효
저는 방송작가님에게 저를 실천예술가 두눈으로 방송해 달라고 말말했으나 뉴스에서는 조형작가 변득수로 보도되었습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저의 작가명은 두눈입니다.
저는 홍익인간 사상을 예술로써 실천하기 위해 조형작업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작업하며 활동 해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실천예술가"라 합니다. 작업실에 설치해둔 두눈체 중 방영된 두눈체 <투표>는 정면에서 촬영되어 트표로 보이는 것이지만 각도를 달리하면 원래 글자로 보입니다. 눈은 마음의 창이고 글은 생각의 창이다.두눈체는 영혼의 창이 되고 싶다.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여기서 두눈체는 위와 같은 생각을 바탕으로 짧은 글과 함께 표현한 작업을 말합니다.
더불어 사는 사회로 변하게 하는 실천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
어버이 내게 했던 효,어버이 생전에 다하지 못하네.
(때 낀 손톱은 아버지 작업을 도와 드르고 자른 제 손톱입니다. 어릴적 부터 어버지 일을 도와드렸지만 몇 달전 처음으로 효도하는 마음으로 일했고 그러한 마음이 담긴 손톱입니다.)
또한 유리관 속의 작업들은 영상으로도 표현 했습니다.
출연 : 전지명 시각음악 : 정봉원 사진촬영 : 나민규 <마음에서 자라나리> 콘텐츠를 통해 소통한 내용-> http://j.mp/M9upEl 출연:긴뚝 섬 촬영 편집: 두눈 시각음악: 정봉원, 이홍진, 해금연주 황지환
출연 : 전지명 시각음악 : 정봉원 사진촬영 : 나민규
<마음에서 자라나리> 콘텐츠를 통해 소통한 내용-> http://j.mp/M9upEl
출연:긴뚝 섬 촬영 편집: 두눈 시각음악: 정봉원, 이홍진, 해금연주 황지환
죽어야 사는 구나 콘텐츠를 통해 소통한 내용-> http://j.mp/M9vcFj
이처럼 두눈은 조형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식으로 예술 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방송작가님에게 잘 못된 것들을 말씀드리니 죄송하다는 말과 다음에 또 촬영할 기회가 있거나 다른 프로에 나가게 되면 방송작가들에게 제대로 나올 수 있도록 말해 주겠다고 했습니다. 두눈 프로젝트에 더 알고 싶은 분든 설명회 때 기록해 둔 참여자와의 대화를 참고해 보세요. http://j.mp/99M1DH
ps: 진솔한 것이 가장 아름다울 수 있는 세상을 함께 상상하고 실현하고자 두눈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하지 않는 일을 해 나갈 때 세상은 좀 더 아름다워 질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두눈 프로젝트에 함께 해주시길 권해봅니다. ☞손톱기부 ☞예술전령활동 ☞생각 더하기 ☞삶의 가치관 공유
재미 이상의 그 무엇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