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통과 공감이 있는 문화다양성 연수 | |
| ||
문화 다양성 축제 |
1회차 : 3월 11일 ~ 12일 경기도 용인 대웅경영개발원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 : (사)문화다움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총괄: 추미경 문화다움 대표이사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조아영 문화다움 선임연구원 양지애 문화다움 PM 김소영 문화다움 연구원
“소통과 공감이 있는 문화다양성 연수”는 우리사회 안 문화다양성 증진 및 정책환경 개선을 위 한 「2014년도 문화다양성 연수운영」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하고 (사)문화다움이 주관하여, 사회 주요영역의 핵심인력인 ‘행정인력’, ‘기업 종사자’, ‘문 화예술 종사자’를 대상으로 1박 2일간 진행되는 통합연수 프로그램입니다. 해외 이주민과 다문화 가정의 증가, 기술 발달 등으로 인한 문화 간 접촉의 증가 등 국내외적인 환경 변화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과 논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개인 측면에 서도 나와 다른 문화, 나와 다른 사람과 어울려 소통하며 살아가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입니다. 문화다양성은 한 사회의 문화가 획일화되거나 특정 목적에 의해 통합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다양한 가치들이 차별받지 않고 존중되는 것, 즉 다양한 문화의 공존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통과 공감이 있는 문화다양성 연수”는 다름을 존중하고 함께 어울릴 줄 알며 다른 문화를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감수성과 소통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전문적 이론 강연에서 워크숍과 콘서트까지, 우리사회 주요 영역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행정인 력, 기업종사자, 문화예술종사자를 비롯하여 문화다양성에 관심 있는 분들이 한자리에 모여 문화다양성의 소중한 가치를 체험하고 공감하며 서로 나누는 문화다양성 연수의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이 지난 해 5월 28일 제정되어 11월 29일 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문화다양성 이슈가 문화예술분야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의 행정체계와 기업 활동에서도 중요한 아젠다로 떠오르고 있는 현 시점에, “소통과 공감이 있는 문화다양성 연수”는 올바른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문화감수성을 높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_ 연수자료집 인사말: 추미경 문화다움 대표이사 Part 1. 여는 강연 김헌식 문화평론가 우리사회속의 문화다양성의 가치 이시재 카톨릭대 사회학과 교수 Part 2 문화다양성 분과수업 김진혁 한예종 방송영상과 교수 EBS 지식채널-e 네트워크 파티 둘째 날 Part 4. 문화다양성 워크숍 Part 5. 문화다양성 콘서트 다르지만 같은 노래 문화다양성 공감을 위한 문화다양성 콘서트 김 희 연 사회적기업 다국적 노래단 ‘몽땅’ 대표 다국적 노래단 “몽땅” 문화다양성 연수 자료집 (행정 인력, 문화예술 종사자, 기업 종사자) <- 다운 받기 ------------------------------ 사족: AEC 비빗펌 윤현옥 대표님께서 연결해주셔서 참가하게 되었다. 평소 다양한 가치의 공존을 꿈꾸며 예술활동을 해왔기에 흥미가 있어 갔었다. 인류는 하나이며 다양한 사람들이 공생하고 있음을 두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손톱 작품을 보여드리고 참여한 분들의 손톱도 기부 받을 수 있는 가방을 가져 가도 되는지 물어 보았지만 아쉽게도 불가능했다. 문화다양성에 대해 찾아 보니 고등셀파의 내용이 이해가 쉬운것 같다. 제시된 자료는 문화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문화 다양성 협약을 소개한 내용임 다양한 문화가 폭넓게 교류하는 세계화 시대에서는 무조건 타문화를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정체성을 지키면서 주체적인 태도로 타문화를 수용하는 자세가 바람직함 |
'뜨앗-.-! 앗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어 룰라(글 신원미 그림 이선주) - 참된 소통 (0) | 2015.07.14 |
---|---|
동영상 및 디비디 제작 (0) | 2015.04.03 |
22013 AR-TOWNS 도록 (0) | 2015.03.26 |
2015 아티스트 인 김해 - 쇳물의 향연 대한민국 금속공예명장 변종복展 (0) | 2015.03.22 |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자율입장제 그리고 책임이 행복 (0) |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