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손톱이 예술이 됩니다

Facebook

2013년 6월29일 Facebook 이야기

실천예술 두눈 2013. 6. 29. 23:59
  • profile
    메세나폴리스 1층에서 찍어 보았어요. 나, 무
    영어 번역도 되어 있으니 외국친구와도 나눌 수 있어요.
    지금 이순간에도 진정한 자신이기를^^
    두눈 _ 나 무 _ 손톱, 아크릴, 고향의 흙, 폐기된 지폐 _ 8.5 X 5.8 X 19.7(cm) _ 2012 
    Dunun_NA MU_ Fingernails, Acrylic plastic, Soil of my birthplace, Obsolete paper money_8.5 X 5.8 X 19.7(cm) _ 2012 
     
    나 무  
    내 안의 나 또한 타인에 의해 드러나지만 자신을 명징하게 하는 건 자기 자신이다.  
    그러나 진정한 자신으로 완성되는 것은 자연의 일부로 스며드는 것이 아닐까?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 
     
    NA MU 
    My inner self is defined by others sometimes.  
    But the only one who can define my inner self is me.  
     
    And if there is a way to complete my true self, it may be a part of nature.  
    By being integrated with it... 
     
    ps: In Korea, NA-MU means tree. It can also mean I am not here. 
     
    -A thought of Two Eyes, the 35th year on earth 
     
    (Translated by Dongmi Kim Ragin ) 
    image
    통하련다 촬영 중
    image
    김정훈 페어래 강백호 정기자 노라

    오늘 현장에서 손톱 기부해준 78 말띠 친구들 때문에 술상이 예술상이 되었어요. 미리 잘라서 기부해준 나나 , 누나에게도 감사

    2011년 9월24일~25일 종로구 낙원동 어느 맥주집에서
    image
    <죽어야 사는구나> http://21cagg.org/gnuboard4/bbs/board.php?bo_table=contents&wr_id=78
    <Can survive when die -Two Eyes Project> http://21cagg.org/gnuboard4/bbs/board.php?bo_table=English&wr_id=37
    <死んでこそ生きるんだな - ドゥヌンプロジェクト> http://21cagg.org/gnuboard4/bbs/board.php?bo_table=jp&wr_id=10
    <你活到死 - 两眼计划> http://21cagg.org/gnuboard4/bbs/board.php?bo_table=ch&wr_id=11
    <Erst wenn man stirbt, lebt man - Das Projekt von Zwei Augen > http://21cagg.org/gnuboard4/bbs/board.php?bo_table=Deutsch&wr_id=28
    image
    <국제상상대학+부러진 삽>연계 전시 기획전

    기간 : 2011. 11. 12토 - 11. 24목
    장소 : 쿤스트독 (서울시 종로구 창성동 122-9)
    휴관 : 월요일 / 관람시간 : 11시 ~ 18시(24일은 낮12시까지)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강연주제: 소셜네트워킹과 현대미술
    일시: 2011. 11. 19 4:00 pm
    강사: 윤진섭 (미술 평론가/ 호남대 교수)

    토요일 2시30분 일요일 4시에 경북궁역 3번출구로 오시면 제가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주소 참고 해주세요
    http://cafe.daum.net/beyun/2Xl/2045
    image
    <예술IN예능>몇 달전 출연했던 예능프로 포커페이스 시즌 2 사진입니다.
    뜻 밖에 고등학교 동창 두명을 만나게되고...

    예술가도 예능에 나와야 한다는 주장을 했던 저의 말에 제가 딱 걸려버린.
    어색하게 웃고 있는 나의 모습이 말 그대로 어색하게 다가오네요.
    방청객 또한 기계적으로 웃는 것 같은 느낌.
    스트디오에 가서 촬영한 건 처음이었는데 색다른 경험을 했었지요.

    11일은 충무로에서 촬영을 하는데... 좀더 자연스러울 수 있기를
    추한 것이라도 진솔한 것이라면 아름답게 느껴질 수 있기를...
    image
    충무로 와글와글 촬영에 데리고 갈 작품 포장 중. 출연진들 삶의 흔적도 기부 받을 수 있기를^^ 네일아트 받으시는 분은 기부하기 힘들겠지만...
    image image
    알고 보면
    image
    메리 크리스마스-두눈이 출연한 충무로 와글와글 및 <Kunstdoc-Artist Cluster 2011> 소식 전합니다.
    MBN 충무로 와글와글-16회 ★★직업
    방영 일시 2011. 12. 26 오후 8:30 재방송 27일 오전 1:30, 9:00
    KUNSTDOC - ARTIST CLUSTER 2011 展
    2011.12.27 - 2012. 1.4 쿤스트독 갤러리 휴관 31일 1월1일

    먼저 Merry Christmas^^ 크리스마스 이브가 더욱 젊은 이들에게 들뜬 날이 된 계기를 아시는지요? 과거 통금 시간이 있었던 시대에 이날은 통금시간과 상관 없이 자유롭게 거리를 다닐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두눈은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신은 예수님의 몸으로 이 땅에 왔고, 예수님은 사람이었으니, 예수님이 탄생한 날이라도 우리 모두가 예수님의 마음으로 무엇이든 행해 보면 어떨까요? 그렇게 된다면 분명 기적이 일어나겠죠^^ 그리고 예술에서 'ㄹ' 하나를 빼면 예수이 듯이 예수님은 현실을 초월한 예술가 라고도 생각합니다. http://blog.daum.net/dununorg/15848638
    image
    충무로 와글와글 http://cafe.daum.net/beyun/2Xg/653
    후기에 달린 댓글입니다. 하나는 싸이월드 클럽 < klimt-악마적 퇴폐와 고질적 순수> 에서 또 하나는 다음카페의 <민생경재연대> 에서 달아준 댓글입니다. 보여지는 것은 싫어하시는 분이 있지만 그래도 정신적인 것은 응원해 주시네요^^
    image
    작업을 하면서 인문학 강의를 종종 듣는데 요즘은 손홍규<소설가들은 다 해본 문장연습>을 듣습니다.
    기부받은 손톱으로 두눈체 작업을 하다 보니 글을 잘 쓰고 싶어 듣는 강의와 손톱 조각을 조합하여 조형적으로 글자를 잘 만들려고 애쓰는 것이 무언가 통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신과 물질이 조화되는 것 같기도 하고.
    조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분, 혹은 외로운 분에게 오로지 인간의 편인 인문학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아트앤스터디 http://www.artnstudy.com 를 추천합니다. 재작년에 두눈 프로젝트에 협찬도 해주셨지요.
    image
    두눈 프로젝트 - 삼.삼 기부의 날에 앞서 삶을 주름 잡는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나눕니다.
    2012년 2월 12일 1시부터
    홍대 민들레 영토
    최대 참석 가능 인원 40명
    자세한 사항은 이벤트로 다시 알려 드리겠습니다.
    image
    Your Finger nails Become Art
    http://dunun.org/
    image image
    온라인 기사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20518/46350609/1
    image
    손톱작품 활동으로 "생생 정보통"에 출연했는데 (후기 http://j.mp/IJuujE )방금 상품권이 우편으로 도착했습니다. 예전에도 공영방송에 출연한 적이 있어 출연료가 없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대신 상품권을 주기도 하나 봅니다.
    조만간 김해에 또 내려가는데 아버지께 드려야겠습니다. 아버지가 이 방송을 보시고 어머니에게 한 말이 돈을 벌면서 유명해 져야지 하셨다고 하는데... 어쩌든 저의 열정이 상품권으로 환산되었네요.
    아버지는 저를 걱정하는 마음에 손톱작업을 그만하라 하셨는데 제가 포기할 것 같지 않으니 이제는 돈벌이하면서 작업을 하라 하시지요. 아버지 지인 분들에게도 손톱을 기부받기 위해서 손톱 얘기를 하곤 했는데 아버지는 흉본다면서 절 때 아버지 아는 분들에겐 손톱 얘기 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너 어릴 적에 일을 시키지 말았어야 했는데 한스럽다는 말도 하시고
    그래도 아버지 때문에 손톱에 빠져들 수 있었고 그나마 이렇게 하고 푼 예술활동을 할 수 있게 여건을 만들어 주신 아버지가 요즘은 고맙게 느껴집니다. 언젠가는 아버지의 때 낀 손톱을 기부받는 날을 고대하며 계속해서 여러분의 삶의 흔적(손톱)과 함께 쭉 작업활동 해나가겠습니다^^ 잘라 주시는 만큼 붙이도록 할게요.
    66 기부의 날이 다가오네요. 손톱 기부 뿐만 아니라 가능하시다면 각자의 삶 속에서 능력껏 이웃을 위해 자신의 시간을 나누어 보면 어떨까 합니다.으흐흐
    image
    삼삼 육육 구구데이는 기부의 날을 소개합니다. 저는 66 기부의 날 맞이 용접공이 되었지요. http://j.mp/JUkNjX 가시어 내용을 보시고 맘이 동하신다면 손가락 모양을 눌러 주세요. 그러면 더 많은 사람이 접할 수 있습니다.

    나눌 수록 배가되고 깊어지는 예술은 삶을 피보다 더 진하게 합니다. _ 아트 메신저
    image
    “M 아트 플리마켓“ 6월17일, 두눈도 참여 합니다.
    두눈 프로젝트가 꿈꾸는 세상을 현실공간에서도 함께 하고자 하는 소장자를 찾습니다.
    소장이란 단어는 “자기 것으로 간직하다“는 것과 ”맡아 보는 일“ 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두눈 프로젝트는 손톱을 매개로 진솔한 것이 가장 아름다울 수 있는 세상을 함께 상상하고 실현하고자 합니다.
    가상공간을 통해 공유 했던 작업을 최대 100개로 에디션을 정해 소장자에게 판매하며 손톱 기부도 받습니다. 손톱을 기부해주신 분에게는 두눈 프로젝트 기념우표 <마음>을 dream니다.

    나눌수록 배가되고 깊어지는 예술은 삶을 피보다 더 진하게 합니다.
    -지구별에 온지 34년 두눈 생각-

    장소: 종로구 소격동 127번지 B1. Space Radio M 시간 PM 12:00~7:00
    (안국역 1번 출구 아트선재 방면. 9분 거리 지도 http://me2.do/xkBJ20C)
    image
    소장자에게 드리는 두눈 프로젝트 보증서
    image
    <MBC 뉴스데스크 - 작품에 쓰이는 이색소재‥'생필품 활용' 예술작품> http://j.mp/MgrxJ0 올해 들어서 네 군데 방송국에서 촬영 요청이 왔지만 방송후기쓴걸 보여드리며 섭외에 바로 응하지 않았습니다.
    뉴스는 처음 섭외가 와서 독특한 재료로만 부각되면 안 된다고 말하며 응했습니다. 촬영이 끝나고 실천예술가 두눈이로 나와야 한다고 말했는데 방송을 보니 본명과 조형작가로 보도되었네요.
    저는 입체작업뿐만 아니라, 영상, 사진, 시, 온라인에서도 예술활동을 하기에 조형작가로 한정되진 않습니다.
    방송작가님이 죄송하다며 정정보도는 안 되고 다음에는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해주시겠다고 하셨지요. 커피, 손톱, 펜, 실로 작업하시는 작가분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20초 나옵니다^^ 첫 작품은 사람의 얼굴을 표현한것 보다는 저의 작가명 두눈에 대해 말하고자 만든 작품입니다.

    눈은 항상 아름다운 것 예쁜 것만을 보려 한다.
    극과 극이 통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니, 왜 눈이 두 개인지도 알 것 같다.

    -지구별에 온지 31년 두 눈 생각-
    image
    가는 길이 사무치게
    흔들리면 소신을 키워 중심 잡으면 되고
    어둡다면 마음길 닦아 빛나게 하면 되고
    외롭다면 그림자 동무 삼아 걸으면 된다

    가는 길을 사무치게
    사랑한다면 함께 걷는 이가 있지 않을까?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
    image
    첫 경험 세 가지와 I.U.I 전시 소식

    2012년 7월에 두눈은 세 가지 첫 경험을 했습니다. 저와 연이 닿는 분들과 공유하고자 이렇게 장문의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8월4일 부터 12일까지 스페이스 라디오 엠에서 국제상상대학 단체전 전시소식과 저 또한 시각예술 전시를 한번도 가보지 못한 분들에게 첫 경험을 시켜 드리고 싶어 이벤트를 열고자 합니다. 끝까지 읽어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전체보기-> http://blog.daum.net/dununorg/15848990
    image
    4년간 농사지은 선수의 결실을 손톱보다 못한 심판들이 빼앗아 간다. 지켜보는 사람들의 눈이 무섭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러고 보니 분노는 사람이 사람에게만 하는 것이었구나. 진솔한 것이 가장 아름다울 수 있는 세상이 된다면, 사람에게 상처받는 일은 없을 텐데. . _ 2012.7. 31 런던 올림픽을 보고
    image
    두눈체 주름(에디션 1/100)이 디지털 프린트 되어 8월 4일 국제상상대학 정기전에 첫 선을 보입니다. 예술을 통해 내면에 주름잡으로 스페이스 라디오 엠 으로 오세요.
    image
    고향의 땅에 나 무를 심다.

    내 안의 나는 타인에 의해 드러난다. 그러나 명징 하게 할 수 있는 건 자기 자신이다.

    두눈의 단체전 소식 및 시각예술전시 첫 경험 이벤트 안내
    http://j.mp/QBIRrF
    image
    파랑새님 댁으로 장가 보내야 하는 <눈> 입니다.
    스페이스 라디오 엠에서 <눈>을 찾아 작업실로 돌아오는 길에
    기념으로 사진을 찍었습니다. 차가 지나가니 눈이 날아 갈 정도로
    가벼운 작업임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네요. (조마 조마 찰칵)
    하지만 가치를 알아보는 분의 댁으로 가는 것이니 대우를 잘 받을거라 믿습니다.
    "<눈>아 또 다른 의미를 생성하며 잘 살아야 해, 전시가 있을 때 다시 보자"

    눈은 항상 아름다운 것 예쁜 것만을 보려 한다.
    극과 극이 통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니, 왜 눈이 두 개인지도 알 것 같다.

    -지구별에 온지 31년 두눈 생각-
    image
    두눈 _ 나 무 _ 손톱, 아크릴, 흙, 지폐 _ 8.5 X 5.8 X 19.7(cm) _ 2012 절단된 가로수의 나이테 중심에 설치

    이번 99기부의 날은 사람에게 저의 재능을 나누기보다 나무에게 무언가를 해주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자연스럽게 살아온 나무가 사람을 위해 도심으로 이사 왔지만 얼마 되지 않아 절단되어 미안한 마음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최근 완성한 <나 무> 또한 절단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소재로 만든 것이라 이 작품이 나무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위로해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눈 프로젝트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dununP
    image
    구구 기부의 날 실천, 도심에 이사와 죽어가는 나무를 위로 했습니다.
    *나무가 죽어가는 소리를 두 눈으로 듣다.*
    "미안해 나무야, 그리고 자연아"

    매년 3월3일, 6월6일, 9월9일은 자신의 재능을 이웃과 나누는 날로 정해 실천해 보면 어떨까요? (평일에 실천하기 어려운 분은 기부의 날 앞, 뒤 주말에 실천해도 좋습니다.) 이날들은 축산업에서 육류 소비를 늘리고자 지정한 날이기도 하지만 실천한 기부에 관해 얘기 나누며 보람찬 마음으로... http://j.mp/NMu3Za
    image
    다양한 가치의 공존, 손톱이 먼저다!

    <상징적 가치로서의 전환> 작업은 두개골 모형에 주로 삶의 부산물이 낀 손톱을 붙이는 작업이다. 두개골은 하나의 뼈가 아니라 전두골, 측두골, 두정골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필연인지 우연인지 두개골의 접합부분을 표시한 선이 두눈을 가장 잘 표현 할수 있는 색이라고 여기는 주황색이다.
    2010년 본 작업을 시작할 당시에는 자신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색이 칠해진 손톱을 기부받을 생각은 못했다. 1년 쯤 지나 삶의 가치관 공유(http://j.mp/cJ58Vo)와 같은 맥락으로 각자의 색으로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기부자 자신을 가장 잘 표현 할수 있는 색이 칠해진 손톱도 기부받는다고 알렸다. 두눈은 자를 때가 되면 주황색을 칠한 후 자른다. 두눈에게 주황색은 열정의 색인것 같고 열정적으로 삶을 살고 싶은 의지의 표현으로 칠한다. 두개골의 접합부에 두눈의 손톱이 붙는 것은 인류의 마음과 마음을 이어 동하게 하고 싶은 두눈의 열정과 통한다는 생각이 든다.

    팟캐스트 비정상회담 (안드로이드 http://j.mp/XDwyjG 아이폰 http://j.mp/PCHyvx)에서 박에스더님이 두눈에게 너무 의미 부여하는것 아니냐고 하셨는데, 생각해 보니 삶을 의미있게 살고 싶은 열정 때문인 것 같다. 또한 의미 없는 예술이 없듯이 심장이 뛰는 한, 삶이 예술이었으면 하는 본성 때문인 것 같다.
    image
    종종 동네 철물점에서 필요한 재료를 사는데 사장님에게 메세나폴리스에서 전시 중이라고 보러 오시라고 했다. 오늘 아르바이트에 필요한 추지석을 사러 다시 철물점에 들렸다. 사장님께서는 나는 못 가보고 아이들보고 보러 가라고 했다며 "그림이라면 팔리기라도 할 텐데 손톱 전시를 왜 하나요?" 하신다 ^^;: 그래서 "작가가 전시하는 건 당연한 거지요. 7년간 작업하면서 4분이 사주셨어요" 라고 답했다. 그리고 손톱 모으고 계시는지 물어보니 모으고 있진 않다고 하셔서 손톱 꼭 모아주세요. 하고 나왔다.

    얼마 전 오래간만에 본 선배에게 4번째 소장자를 만났다고 하니 "너 작품 팔리지 않을 줄 알았는데" 하신다. 손톱이 이리 가치 없는 것일까? 삶에서 손톱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데, 삶에서의 첨병은 "손톱"이다. 그리고 손톱만큼만 진솔하게 산다면 저 세상쯤이야 아무 문제 없을 것이다.
    image
    알림장 메세나폴리스에서
    image
    봄 바람이 부는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을 유목하다.

    메세나폴리스 건물은 곡선 구조라서 그런지 바람이 좀 심합니다.
    오늘은 따뜻한 봄바람과 함께 손톱을 한 번도 기부해주신 적 없는, 손톱 작업을 그만하라고 조언 하신(애증관계의) 선생님도 오시고 GS건설 분양 관계자분과 점포를 매입하려는 분도 들어 와 둘러보고 나가셨지요. (예전에는 조마조마했는데 이제는 무덤덤합니다.)

    선생님이 독일에서 했던 낙태에 관한 작업 얘기도 듣고 선생님의 제자가 긍정적으로 변화된 사례도 말씀해주시고... 혁명은 예술이 하지 못한다... 두눈은 예술이 아닌 예술을 하고 있다. 두눈의 예술이 깨진 후에 다시 얘기하자고 하셨지요..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 보니 시간 가는 줄 모르게 3시간 반이 흘렀습니다. 급하게 집에 가셔야 할 일이 생겨 밥 같이 먹으려 했는데 그러지 못하고 가야 한다며 115호를 나셨습니다. 지하철까지 바래다 드리면서 선생님이 하시는 말씀이 "예술이 아닌 예술을 나도 했다." 라고 하셨지요.

    b154호에 머물 때 아버지가 작품을 감상하며 내 쉰 한숨과 "너의 계획이 머냐"며 물어보시고 "왜 네가 그 일을 하려고 하느냐?"한 꾸지람도, 만난 지 10년이 된 선생님의 조언도 두눈이 지향하는 예술의 길을 흔들리게는 하지만 막지는 못합니다. 저는 <비정상회담>에서 말한 것과 같이 저 자신을 믿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가 지향하는 예술을 깨줄 분을 만나고 싶다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

    아버지는 "내 살아생전에 너는 빛을 보지 못할 것이다" 라고 하셨지만
    꼭 아버지 살아생전에 빛을 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언젠가 순수, 마음 우표를 간직한 분을 초대하여 잔치를 여는 날도 꿈꿔 봅니다.


    <깨어나 꾸는 꿈>

    현실 속에서 꾸는 꿈은 힘겹다.
    시련을 이겨내며 그 꿈을 위해 열정을 쏟는 당
    '신'은 아름답다. 그래서 나는 당신이 사랑스럽다.

    - 지구별에 온 지 34년 두눈 소리-

    사랑스런 두눈의 눈물과 함께 진솔한 것이 가장 아름다울 수 있는 세상을 함께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함께 해주시는 분들께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 유목한 지 75일 째
    image
    절망에는 정말 희망이 있고
    희망에는 정말 절망이 있다.

    두눈 프로젝트-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을 유목하다.
    image
    두눈 _ 노란 향수 _ 호미(할머니 유품), 손톱(가족 3명이 2년1개월간 모음)_ 크리스탈 관 _ 24 x 13 x19(cm) _ 2010

    이 땅 위에 함께 숨 쉬며 살아가는 모든 이의 마음의 밭을 일구는 도구로 작용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http://j.mp/d3tHRh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을 유목하다.
    B154호에서
    image
    두눈프로젝트-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을 유목하다.
    66일째 3번째 이동

    이동도움 : 임토우, 이승윤
    영상기록 : 강윤철
    사진기록 : 노우석

    3월2일 B154호에서 115호로
    image
    두눈 프로젝트-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을 유목하다.
    66일째 3번째 이동

    이동도움 : 임토우, 이승윤
    영상기록 : 강윤철
    사진기록 : 노우석

    3월2일 B154호에서 115호로
    image
    삼일절에 달았던 태극기

    메세나폴리스 B154호
    image
    정권을 잡기 위한 권력자의 불법 행위에 국민이 분노하지 않는다면,
    정치인은 공영을 위해 국민과 한마음이 되려고 애쓸 필요 없다.
    대신, 진실을 조작할 수 있는 특정인의 마음만 사면 된다.
    -지구별에 온 지 36년 두눈 소리-
    image
    두눈 _ DNA _ 디지털 프린트 _26.3 x 34cm_2012 (2/100)

    영혼이 이끄는 삶을 살아간다면 어떻게 사는 것은 중요치 않다.
    - 지구별에 온지 33년 두눈 생각 -

    If life is led with soul, how you live is not important.
    -Thoughts of Two Eyes After 33 Years of Life on Planet Earth-

    동영상 http://youtu.be/eJ3Wnetx7hY
    image
    컴퓨터 파일들을 정리하다 발견한 2007년 두눈 프로젝트 - 솔직한 손톱? 있는 그대로를 보다!
    친동생이 찍어준 작품 설치 기록 사진. 이 공간에는 <나 너 하지만 우리> 상영 http://youtu.be/xrn8KT9q8EM

    지금은 사라져 버린 홍대 앞 예술공간 헛
    image
    두눈체 효 이미지와 글귀를 출력하여 액자에 넣기 전.

    공간액자 사장님께서 가격도 저렴하게 해주시고 주문한 것보다 몇 개 더 보내어주셨다. 두눈에게 복을 지어 주시는 분이 참 많다.
    예술활동 쭈우욱 해나가겠습니다. 고맙습니다.
    image
    YTN 황금나침반 촬영 중에.

    메세나폴리스에서 첫 방송 촬영
    image
    언제 쯤 카메라 앞에서 이런 얘기를 할 수 있을까?

    물질이 정신을 앞서버린 현 사회는 본질보다, 꾸며져 겉으로 보이는 것이 가치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꾸밈없는 솔직함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빈곤한 삶을 자초하는, 세상물정 모르는 우둔한 사람으로 치부되지만 한편으로는 세상의 불편한 진실을 얘기함으로써 진실을 숨겨온 사람들에게 미움, 혹은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물질에 매료된 삶은 새로운 것들을 아무런 검증 없이 수용함으로써 자아를 잃어버리게 하고 가치관을 물질적 번영으로 획일화시킨다.
    이런 사회현상을 명확히 인식시켜 준 것이 두눈을 성찰하게 한 손톱이었다. 직관적으로 떠오른 손톱의 상징적 의미를 형상화해 소통하려 했지만,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고 무엇이 문제인지를 고민하다 마침내 꾸며진 의미들을 걷어내어 망각했던 기억이 되살아나 두눈을 반성하게 했다. 그리하여 손톱이라 명명된 딱딱한 각질을 있는 그대로 보게 되었다. 손톱은 솔직함 그 자체였으며 인간의 삶과도 닮아 있었다. 자라나 유용한 도구로 쓰이고 그로 인해 때가 끼고 잘려 버려지는 것은 인간이 태어나 속세의 때가 묻고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볼 수 있다. 때 묻는 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지만 숨기고 싶은 치부이기도 하다. 솔직한 손톱은 인간의 치부를 있는 그대로 드러냄으로써 혐오감의 대상이 된다. _ 두눈 프로젝트
    image
    두눈의 예술활동이 7개월 만에 방송으로 소개됩니다.
    이번에는 메세나폴리스 예술 유목 공간에서만 촬영했습니다.
    저의 예술활동을 모르시는 친구 지인 분들에게 소개 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삶의 흔적으로 진솔한 마음 나눌수 있고 프로젝트에
    함께 할 수도 있습니다.

    ★ YTN 사이언스
    6월 5일 19시30분, 6일9시30분
    7일4시00분, 8일14시 30분
    ★ YTN NEWS
    6월 9일 9시33분
    image
    2013 AR-TOWNS
    6.6~6.11

    부산 벡스코BEXCO

    두눈프로젝트 관련 자료와 영상이 가로 세로 높이 40cm 상자 안에 전시됩니다.
    http://www.neolook.net/archives/20130607b

    부산을 시작으로 군산 대전 서울에서 연이어 전시가 됩니다.
    image
    2012년12월 부터 2013년 6월까지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 유목하며 찍은 1800여장으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시각음악은 마음씨 좋은 정봉원님이 만들어 주셨지요. 부산 벡스코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11일까지 차후에 군산 대전 서울에서도 상영이 됩니다.
    image
    지구가 열병에 걸린 것 같아 절전하고 있어요.
    들어 오시면 상영 및 점등해 Dream니다.

    그러고 보니 예술 유목 공간에
    들어 온 당신이 ‘빛’입니다.

    -메세나폴리스 예술 유목 156일째부터-
    image
    고독은 자신이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이며
    나아가 자신의 영혼과 소통하는 시간이다.

    -지구별에 온 지 36년 두눈 소리-

    Loneliness provides you the time you can communicate with yourself,
    and moreover the time you can understand your soul.

    -A voice from Two Eyes, the 36th year on the earth.-

    (Translated by Dongmi Kim Ragin )

    사진: 상반된 것 사이에서 부분 http://j.mp/1a0Ye8s
    image
    두눈 _ 나 무 _ 손톱, 아크릴, 고향의 흙, 폐기된 지폐 _ 8.5 X 5.8 X 19.7(cm) _ 2012
    Dunun_NA MU_ Fingernails, Acrylic plastic, Soil of my birthplace, Obsolete paper money_8.5 X 5.8 X 19.7(cm) _ 2012

    나 무
    내 안의 나 또한 타인에 의해 드러나지만 자신을 명징하게 하는 건 자기 자신이다.
    그러나 진정한 자신으로 완성되는 것은 자연의 일부로 스며드는 것이 아닐까?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생각

    NA MU
    My inner self is defined by others sometimes.
    But the only one who can define my inner self is me.

    And if there is a way to complete my true self, it may be a part of nature.
    By being integrated with it...

    ps: In Korea, NA-MU means tree. It can also mean I am not here.

    -A thought of Two Eyes, the 35th year on earth

    (Translated by Dongmi Kim Ragin )
  • profile
    → 두눈 손톱이 이렇게 멋진 작품이 될지 꿈에도 몰랐읍니다..대박~~`입니다
  • profile
    → 두눈 아네 예쁘게 바주셨네요. 참고로 주황색 손톱은 제 손톱들입니다. 주황색으로 살아가고푼 마음이지요. ㅎ 항상 소박하게 살아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profile
    → 두눈 와우 ~ 멋찝니다. ~~^^
  • profile
    → 두눈 네 지이산님 ㅎ 친동생이 쓰던 카메라를 보내주어서 이렇게 멋지게 찍을 수 있었네요
  • profile
    인천에 살고 있는 조카들을 종종 보러 가면 매형과 술잔을 기울이며 예~술도 하게 되는데 새로 쓴 시를 읊어 드리곤 한다.

    예술 잔

    진솔한 사람과 부딪힌 술잔은
    인생길로 담근 술

    그 길에 빠져 접촉사고 났지만
    유쾌하기만 하네.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소리-

    소장자를 가뭄에 콩 나듯 만나는 걸 아는 매형은 시집을 내보라고 한다
    그래서 "아! 시집 내면 시집갈 수 있을까요?" 라고 농담 아닌 진담을 했던 적이 있었다.

    예술 유목공간에 오시는 분들에게 작업에 담긴 얘기를 해드리곤 한다. 감상하는 분과 죽이 맞으면 3시간이 훌쩍 지나간 적이 여러 번이다. 몇몇 분들은 목 아프게 말로하지 말고 책을 쓰라고 하신다. 두눈도 책을 쓸 생각을 쭉 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실행하고 있지는 못했다.

    그러다 동네 이웃 주민이기도 한 김동미님이 두눈의 글을 번역해 주시다가 아는 출판사도 있고 저자이기도 하다며(하루 10분, 태아의 감성과 지능을 깨우는 태교영어! http://j.mp/12asTrX) 적극 책을 써 보자 하시며 첫 기획 회의를 했다.

    그간 가상공간에서 발표한 글들을 출판하고 싶지만, 더 많은 책을 팔아야 하는 출판사의 입장에서 두눈의 고유한 생각을 얼마나 존중해 줄 수 있을지가 미지수다. 하지만 돈이 목적이 아니라 마음이 동해서 도움 주시려는 동미님 이기에 두눈의 정치적 생각을 걷어 내거나 포장하지 않도록 힘써주실 것 같다.

    지금껏 소장자를 4명 만난 두눈은 책을 쓰는 작가나 가수가 부럽다. 두눈이 추구하는 예술은 특정 소수가 누리는 예술보다는 소시민 등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예술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반이나 책처럼 대량 복제되는 작업을 하는 작가는 아니기에 고가의 작품을 구매할 능력이 있는 소수를 만나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나눌수록 깊어지고 배가되는 예술은
    삶을 피보다 더 진하게 합니다.

    - 지구별에 온 지 34년 두눈 소리-

    언젠가 두눈이 추구하는 예술에 동하여 소유나 투자로서가 아닌 소장의 또 다른 뜻 "일을 맡다 본다"로써 예술은 독점이 아닌 공유 되어야 더 가치 있음을 아는 분을 만날 날을 기대하며 앞으로 낼 책이 지구별에서 실천 예술가로 살아갈 수 있는 버팀목이 되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13년 6월 29일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 유목한 지 186일째
    image
    인천에 살고 있는 조카들을 종종 보러 가면 매형과 술잔을 기울이며 예~술도 하게 되는데 새로 쓴 시를 읊어 드리곤 한다.

    예술 잔

    진솔한 사람과 부딪힌 술잔은
    인생길로 담근 술

    그 길에 빠져 접촉사고 났지만
    유쾌하기만 하네.

    -지구별에 온 지 35년 두눈 소리-

    소장자를 가뭄에 콩 나듯 만나는 걸 아는 매형은 시집을 내보라고 한다
    그래서 "아! 시집 내면 시집갈 수 있을까요?" 라고 농담 아닌 진담을 했던 적이 있었다.

    예술 유목공간에 오시는 분들에게 작업에 담긴 얘기를 해드리곤 한다. 감상하는 분과 죽이 맞으면 3시간이 훌쩍 지나간 적이 여러 번이다. 몇몇 분들은 목 아프게 말로하지 말고 책을 쓰라고 하신다. 두눈도 책을 쓸 생각을 쭉 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실행하고 있지는 못했다.

    그러다 동네 이웃 주민이기도 한 김동미님이 두눈의 글을 번역해 주시다가 아는 출판사도 있고 저자이기도 하다며(하루 10분, 태아의 감성과 지능을 깨우는 태교영어! http://j.mp/12asTrX) 적극 책을 써 보자 하시며 첫 기획 회의를 했다.

    그간 가상공간에서 발표한 글들을 출판하고 싶지만, 더 많은 책을 팔아야 하는 출판사의 입장에서 두눈의 고유한 생각을 얼마나 존중해 줄 수 있을지가 미지수다. 하지만 돈이 목적이 아니라 마음이 동해서 도움 주시려는 동미님 이기에 두눈의 정치적 생각을 걷어 내거나 포장하지 않도록 힘써주실 것 같다.

    지금껏 소장자를 4명 만난 두눈은 책을 쓰는 작가나 가수가 부럽다. 두눈이 추구하는 예술은 특정 소수가 누리는 예술보다는 소시민 등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예술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음반이나 책처럼 대량 복제되는 작업을 하는 작가는 아니기에 고가의 작품을 구매할 능력이 있는 소수를 만나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나눌수록 깊어지고 배가되는 예술은
    삶을 피보다 더 진하게 합니다.

    - 지구별에 온 지 34년 두눈 소리-

    언젠가 두눈이 추구하는 예술에 동하여 소유나 투자로서가 아닌 소장의 또 다른 뜻 "일을 맡다 본다"로써 예술은 독점이 아닌 공유 되어야 더 가치 있음을 아는 분을 만날 날을 기대하며 앞으로 낼 책이 지구별에서 실천 예술가로 살아갈 수 있는 버팀목이 되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13년 6월 29일 메세나폴리스에서 예술 유목한 지 186일째
  • profile
    → 두눈 인천에 조카가 살고 있군요!
    이웃 이군요! 제가 인천에 실고 있습니다. 청라국제도시~~^^
  • profile
    → 두눈 아 그러시군요. 조카는 원당풍림아이원 아파트에 살고 있어요. 요글도 함보세요 조카에게 배운 것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431543220227895&set=a.179568278758725.40831.100001166635688&type=3&theater
  • profile
    → 두눈 thank you dear :)

'Face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7월1일 Facebook 이야기  (0) 2013.07.01
2013년 6월30일 Facebook 이야기  (0) 2013.06.30
2013년 6월28일 Facebook 이야기  (0) 2013.06.28
2013년 6월27일 Facebook 이야기  (0) 2013.06.27
2013년 6월23일 Facebook 이야기  (0) 2013.06.23